라벨이 dlna인 게시물 표시

Windows 10 에서 PC 의 동영상을 < LG OLED65B7F > TV 로 자막과 함께 보기

Windows 7 을 쓸 때까지는 <Intel WiDi> 를 이용해서 TV 에 연결해 동영상을 보았다. 이 때는 자막이 나오니 안 나오니 하는 걱정은 없었다. 동영상 재생 화면 자체가 TV 로 나오는 것이니까. 그런데 Windows 10 에서는 이상하게도 OS 자체에서 제공하는 Miracast 가 작동하지 않았다. [netsh wlan show driver] 를 실행해 보면 Mircast 가 지원된다고 나옴에도 불구하고.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대안으로 DLNA 를 살펴보았다. 그 첫 번째가 Windows 10 의 [미디어 스트리밍] 이었다. 설정도 간편하고 LG TV 에서 검색도 잘 되고, 동영상 파일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고 모든 것이 완벽했다. 다만, 자막이 나오지 않았다. 예전에도 DLNA 를 쓰지 않았던 이유도 자막 때문이었다. 여전히 바뀌지 않았다.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서 PC 에 SMB 로 연결하고, TV 에 Miracast 로 연결해서 보는 것은 가능하나 불편한 것은 분명하다. DLNA 를 쓰더라도 자막을 볼 수 있는 것은 없을까 해서 검색을 해 보았다. [미디어 스트리밍] 에서는 자막을 볼 수 없다는 이야기 뿐이었다. 대신에 <Plex> 등을 추천하였다. 그리고 LG 에서 자체 DLNA 서버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바로 <LG SmartShare>. 그래서 두 번째로 <LG SmartShare> 를 사용해 보았다. <LG SmartShare> 는 엘지 전자 사이트 에 가서 제품을 선택하고 모델명 [65B7F] 로 검색해 보니 <LG OLED65B7F> 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LG SmartShare> 를 설치하고 실행한 후, [환경설정] 에서 [공유켜기/끄기] 에서 공유를 켜고, [내 공유 컨텐츠] 에서 공유하려는 폴더를 추가하면 된다. 이렇게 했더니 TV 의 외부 입력에 서버가 보였고, 그 안에 동영상들도 볼 수 있었다. ...

SK Telecom < UO 스마트빔 레이저 > 사용 후기

오랫동안 피코 프로젝터에 관심만 가지고 있다가, 드디어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사용해 본 피코 프로젝터는 SK Telecom <UO 스마트빔 레이저> 이다. <UO 스마트빔> 시리즈가 있는데, 그 중의 <UO 스마트빔 레이저>(이하 <레이저>) 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레이저를 이용하는 프로젝터이다. 이 제품을 받아보고 처음 든 느낌은 '와~~ 정말 작다!' 였다. 크기가 5.5x5.5x5.5(cm) 인데, 생각했던 것보다 실물은 훨씬 작았다. 주변에서 볼 수 있는 3x3 큐브보다도 작았다. 일단 받아보자 마자, 시험해 보았다. 전원 버튼을 5초 정도 누르고 있으면, 전원이 켜지면서 화면에 HDMI 나 Miracast 로 연결하라는 말이 나온다. 갤럭시 노트 3 를 가지고 'Screen Mirroring' 을 활성화시켜 <레이저> 에 연결을 시도했는데, 곧바로 연결이 되면서, 스마트폰의 화면이 그대로 프로젝터 화면에 비춰졌다. 주변 조명이 그대로였던 탓에 화면이 잘 보이지는 않았다. 간단히 시험해 보고 나서, 내부 구성물을 살펴보았다. 구성물에는 프로젝터 본체, USB 케이블, 5V-3A 충전기, MHL 케이블, 5핀-11핀 젠더, 설명서가 각각 하나씩 들어있었다. <레이저> 는 무선 연결 방식과 유선 연결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무선 연결방식은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위에서 설명한 'Miracast' 이고, 다른 하나는 'DLNA' 이다. 안드로이드 계열 스마트폰이라면 Miracst 와 DLNA 가 각각 지원되고, iOS 계열이라면 DLNA 로 AirPlay 가 지원된다. iOS 계열을 쓰지 않아, iOS 계열의 DLNA 는 시험해 보지 못했다. 노트북의 경우에도 Miracast 를 지원을 한다면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Windows 8 부터는 OS 자체에서 Miracast 를 지원한다고...

CASTPRO 2100R 사용후기

지난 6월쯤에 CASTPRO 2100R OEM 제품인 SKT 스마트미러링 을 구입했다. 간단한 사용법과 지난 세 달 정도 사용하고 나서 느낀점을 적어보고자 한다. 제품을 개봉했을 때 CASTPRO 2100R 본체와 전원 어댑터 그리고 HDMI 확장 케이블이 들어있었다. USB 연결선이 있다면 전원 어댑터 대신에 쓸 수 있다. 설치는 간단했다. TV 나 영상장치에 HDMI 연결 부위가 있다면 그 곳에 본체를 직접 꽂으면 된다. 때로는 본체를 직접 꽂을 때 연결 부위 디자인이 본체를 직접 꽂기에 무리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는 HDMI 확장 케이블을 이용하면 된다. 단, 영상장치의 HDMI 포트는 HDMI v1.3 이상을 지원해야 한다. TV 나 영상장치의 입력을 CASTPRO 가 꽂혀 있는 HDMI 로 바꾸어 주면 화면에 CASTPRO 로고가 나타난다. 화면 왼쪽에는 Miracast, 오른쪽에는 DLNAir 가 나타난다. 화면 가운데 로고 아래에는 [castpro xxxx] 라는 고유 ID 가 나오고, 그 아래에는 IP 가 나온다. Miracast 는 WiFi direct 기술을 이용한 무선 스크린 전송 기술의 표준이다. 안드로이드 4.2 이상이나 Intel WiDi 3.5 이상에서 지원한다. DLNAir 는 DLNA 와 AirPlay 를 합친 것으로 보인다. DLNA 는 스크린을 전송하는 것이 아니고 동영상 스트림을 전송한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DLNA 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PC 에서는 Windows Media Player 가 지원한다. 안드로이드에서는 업체별로 다르지만, 삼성 갤럭시 노트 3의 경우에는 기본 제공되는 비디오 플레이어에서 지원한다. AirPlay 는 애플 계열에서 사용하는 무선 전송 기능이다. 내가 애플 계열 장치들을 사용하지 않는 관계로 자세히는 모르겠다. AirPlay 를 제외한 Miracast 와 DLNA 의 사용법을 알아보자. 안드로이드 계열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다면 매우 간단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