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LTE인 게시물 표시

kt LTE-데이터쉐어링 사용기

kt 에서 노트3 를 쓰다가 노트7 으로 바꾸었다. 노트3 를 공기계로 놔두기 보다 데이터쉐어링을 이용하는 게 낫겠다고 싶었다. 방법을 알아보니, 올레플라자 또는 대리점에서 신청해야 한다고 했다. 근처 대리점에서 신청을 하였다. 개통 작업이 10~15 분 정도 걸리는 것 같았다. 유심은 기존의 것을 그대로 쓸 수 있었다. 설명을 듣다가 기존에 알고 있던 것과는 다른 점이 있었다. kt LTE-데이터쉐어링은 추가 1 대 까지만 무료이고, 2 대 이상부터는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그런데, 추가 2 대까지가 무료 이고, 추가 3 대 이상부터 비용이 발생 한다고 한다. 데이터쉐어링이 개통되면, 추가 단말에는 고유 전화 번호가 부여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전화 번호가 있더라도 통화도 문자도 할 수 없다. 수신 및 발신 모두 되지 않는다. 2016 년 초까지만 하더라도 SMS 수신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기존의 것은 시스템 오류였다면서 kt 가 막았다고 한다. 이렇다 보니, 추가 단말에서 할 수 있는 작업이 꽤나 제한된다. 특히 회원 가입이나 카드 등록(쇼핑) 등 본인 인증이 필요한 것들은 할 수가 없다. 특히 요즘에는 본인 인증 과정에너 전화 번호를 바꿀 수가 없다. 기기에 부여된 전화 번호가 자동으로 나타나고, 수정할 수 없다. 이렇다보니, 본인 인증이 필요한 일들은 추가 단말에서 처리할 수가 없다. 꽤나 아쉬운 일이다. 다행히 카톡같은 경우, 전화번호를 지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추가 단말에서도 이용할 수 있었다. 물론 인증 문자를 받을 수 있는 여분의 번호가 있어야 하는데, 내 경우에는 과거 2G 에서 3G 로 바뀔 때, 기존 번호를 계속 유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존 번호로 카톡을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카톡의 모든 기능을 다 쓸 수는 없었다. 특히 보이스톡이나 페이스톡 등 mVoIP 기술을 쓰는 기능은 추가 단말에서 쓸 수 없도록 kt 에서 막아 놓았다. 추가 단말의 효용성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