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나홍진인 게시물 표시

< 곡성 > 을 보고...

<곡성> 을 보았다. 다보고나서 다들 화를 냈다고 해서, 어떤 내용일지 무척 궁금했다. 일단 소문만큼 그렇게 화가 나지는 않았다. 결말을 제대로 그렸다고 생각했다. 대체로 평을 보니, 독버섯이 원인이고, 나머지는 독버섯의 환각 증세라는 것이다. 따라서 독버섯의 환각 증세에만 치우치다 보니, 그 실질적 원인인 독버섯을 놓치고 있다는 것이다. 현혹된 것이다. 다른 의견들은 벌어지는 사건 자체에 대한 해석이다. 어떤 이는 수호신과 외래신 대결로 보기도 하고, 또 어떤 이는 일본의 칩입 과정을 상징화한 것으로 보기도 하며, 또다른 어떤 이는 우리 내부에 있는 외부인에 대한 혐오를 고발하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 위 의견에 따르면 이 의견들은 모두 현혹된 것이겠지만. 첫번째 의견을 지지하는 이들은 나머지를 환각 증세로 치부해버리고 의미를 부여하려하지 않는다. 반면에 두번째 의견을 지지하는 이들은 보이는 모습 그대로를 인정하고, 독버섯에 특별히 의미를 두지 않는다. 어쨌든 두 가지 의견이 양립하기는 어려워보인다. 하지만 사실 이 둘은 겉보기에만 양립하지 못할 뿐이지, 실제로는 동전의 양면같은 것이다. 한 사건의 두 가지 측면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들뢰즈가 주장한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들뢰즈는 긍정의 철학자이자, 사건의 철학자이며 최고의 형이상학자로 불린다. 그는 그간의 유물론과 관념론의 대립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들뢰즈는 유물론에 바탕을 둔 일원론적 이원론을 주창한다. 다시 말해서, 세상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물질로부터 사건이 발생하지만, 이 사건이 형이상학적 평면(문화적 체험)을 거치게 되면 비로소 의미가 발생하며, 이렇게 발생한 의미는 물질로부터 자유롭게 새로운 관계를 만든다. 의미는 물질의 효과로 불리기도 하고 혹은 시뮬라크르로 불리기도 한다. 이를 앞서 제시된 의견들에 적용해보면, 독버섯이라는 물질 사건이 각자의 문화적 체험을 거쳐 다양한 상징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영화 속에서도 그렇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