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토마 피케티인 게시물 표시

< 21세기 자본 > 을 읽고...

마침내 읽었다.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참 오래 걸렸다. 책이 두껍기도 하고, 책을 그렇게 빨리 읽는 편도 아니어서 더욱 오래 걸렸다. 하지만 마침내 읽었다. ^^ <21세기 자본> 의 특징은 역사적 고찰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증명하고, 나름대로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을 통해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상황이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고, 바뀌어 왔다는 것을 알려준다. 그리고 역사성을 강조하면서 필연성을 부정한다. 이에 따라 결국 자본주의가 멸망하고 공산주의 사회가 도래할 것이라는 맑스의 견해에도 비판을 가한다. 그러한 결과는 필연적으로 도래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의지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피케티는 이러한 역사적 접근을 통해 자본주의를 분석할 때, 몇 가지 관계식을 제시한다. 첫번째는 자본주의 제1기본법칙 이라는 것으로 다음의 관계가 있다. α = r * β (α : 자본소득 / 국민소득, r : 자본수익률, β : 자본총량/국민소득) 이 법칙은 항등식이다. 따라서 언제나 성립한다. 그리고 이 법칙은 어느 한 시대의 상황을 설명해주기는 하지만, 장기적 변화를 예측하기에는 부족하다. 여기에서 β(자본/소득)에 대한 또다른 관계식이 등장한다. 피케티는 동역학 방정식이라 부른다. β = s / g (β : 자본/소득, s : 저축률, g : 성장률) 따라서 β(자본/소득)은 s(저축률) 과 g(성장률)에 따라서 달라진다. 성장률이 낮은 상황에서 저축률이 높아지면, 자본의 총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이 곧 자본소득과 노동소득의 차이를 불러오게 된다. 게다가 더 큰 문제는 이것이다. r > g (r : 자본수익률, g : 성장률) 피케티는 이것이 불평등의 근본원인이라고 판단한다. 역사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r(자본수익률)은 언제나 g(성장률)보다 컸다. 이는 노동을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