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의 게시물 표시

GitHub 에서 알림이 사라지지 않을 때

언제부터였는지 모르겠는데, GitHub 알림에 새로운 알림이 있다는 표시가 항상 나타났다. 막상 알림을 확인하면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다. 그냥 무시하고 싶었는데 알림이 왔다는 표시가 계속 떠 있으니 불필요하게 매번 확인하였고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게다가 내가 알고 있는 저장소에서 오는 알림이면 모르겠는데 듣도 보도 못한 저장소에서 온 알림이었고, 해당 저장소로 이동하지도 못했다. 문제의 저장소는 paradigm-signal/paradigm- 이었다. 이게 나만의 문제인가 싶어 찾아보았더니 이미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문제였다. 물론 문제의 원인이 저 저장소는 아니었지만. 다행히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다. 여러 방법 중에서 github API를 이용하는 방법이 유일하게 통했다. 다음 문장을 실행하면 된다. curl -X PUT -H "Authorization: token <YOUR_TOKEN>" https://api.github.com/notifications 여기에서 <YOUR_TOKEN>은 GitHub에 등록되어 있는 [Personal access tokens] 이다. 해당 내용은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s] - [Tokens (classic)]  에서 확인할 수 있다. 꺼지지 않는 알림으로부터 해방되기를 기원하며...

OS/2 announce: nasm v3.01 for OS/2 released

nasm v3.01 for OS/2 has been released. OS/2 용 nasm v3.01 을 발표하였습니다. They can be downloaded from :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   https://www.os2.kr/komh/os2factory/#nasm   Enjoy Warping !!! Korean OS/2 User Community : http://www.os2.kr/  

< Benz E350 AMG Line > 휠 굴절 복원기 - 모터피트!

2023년식 Benz E350 AMG Line 을 운용하고 있다. 그런데 2년차 중반쯤 되었을까? 직진할 때 핸들 수평이 맞지 않고 왼쪽으로 조금 돌아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서비스 센터에 접수하고 정기점검 때 수리받기로 하였다. 하부 검사 결과 2번 언더 커버의 조수석쪽이 파손되었고 앞쪽 좌우 바퀴 휠에 굴절이 있다고 하였다. 포트홀이 원인인 것 같다고 하였다. 휠 얼라인먼트로 해결될 줄 알았더니 일이 커졌다. 참고로 보증이 남아 있더라도 휠 얼라인먼트는 유상이다. 대략 20만원 정도. 서비스 센터에서는 언더 커버는 물론 휠도 모두 교체해야 한다고 하였다. 휠 복원에 대해서 물었더니 안정성 문제로 권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대략적인 예상 비용을 물었더니 휠 한쪽에 250, 언더 커버는 50 정도라고 하였다. 휠 양쪽을 모두 교체해야 하므로 총 비용은 550 이었다. 쌩돈으로 하기에는 부담스러워 자차 보험으로 처리하기로 했다. 보험에 접수하고 외제차 담당자와 상담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양쪽 휠이 동시에 굴절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이에 대한 증빙 자료를 요구하였다. 해당 사고에 대한 블랙박스 영상이 없다면 한 건으로 처리할 수 없고 두 건으로 나누어 처리해야 한다고 안내 받았다.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한 건으로 처리하고 싶다고 하였으나 영상이 없으면 불가하다고 하였다. 두 건으로 처리하면 자부담 비용도 50에서 100으로 올라가고 나중에 보험료 할증의 부담도 커 복원을 알아보기로 하였다. 벤츠 영맨에게 업체를 알아봐달라고 하였더니 양재에 휠 복원하는 업체들이 모여 있다고 하면서 그 중에 한 업체를 소개받았다. 복원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어 어쩌면 차를 하루 정도 맡겨 놔야 할 수도 있다고 영맨으로부터 안내 받았다. 지방에 사는 사람의 설움이다ㅠㅠ 숙박하는 대신에 탁송을 요청하기로 하였고 가급적 하루에 마무리하기 위해 아침 일찍 업체를 찾았다.  공식 업무 개시 시간은 아침 9:30 으로 되어 있었으나 9:00 쯤에 도착했을 때 벌써 작업을 하고 ...

OS/2 announce: fluidsynth v2.5.0 for OS/2 released

fluidsynth v2.5.0 for OS/2 has been released. OS/2 용 fluidsynth v2.5.0 을 발표하였습니다. They can be downloaded from :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   https://www.os2.kr/komh/os2factory/#fluidsynth   Enjoy Warping !!! Korean OS/2 User Community : http://www.os2.kr/  

별의 광도와 생명가능지대

이미지
생명가능지대는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뜻한다. 그리고 생명가능지대는 별의 광도에 따라 달라진다. 별의 광도가 커질수록 생명가능지대가 시작되는 지점, 끝나는 지점까지의 거리와 두 지점 사이의 거리는 멀어진다. 이를 간단히 증명해보고자 한다.  별의 광도를 L, 행성까지의 거리를 d라고 하면 행성에서 단위 면적당 받는 에너지 크기는 다음과 같다.   그런데 생명가능지대가 시작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에서 단위 면적당 받는 에너지 크기는 항상 일정하다. 각각의 에너지 크기를 E1, E2, 거리를 d1, d2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한다.   (1), (2)에서 k, E1, E2는 일정하므로 d1, d2는 L이 커질수록 커진다. 따라서 별의 광도가 클수록 생명가능지대가 시작되는 지점과 끝나는 지점은 멀어진다. 이제 (2)를 (1)로 나누면,   이므로,    이다. 이 때 k, E1, E2는 일정하므로 d2 - d1은 오로지 L로 결정된다. 따라서 광도가 클수록 생명가능지대의 폭은 넓어진다.  증명 끝. 

OS/2 announce: meson v1.8.3 and dav1d v1.5.1 for OS/2 released

meson v1.8.3 and dav1d v1.5.1 for OS/2 has been released. OS/2 용 meson v1.8.3, dav1d v1.5.1 을 발표하였습니다. They can be downloaded from :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 meson v1.8.3: https://www.os2.kr/komh/os2factory/#meson dav1d v1.5.1: https://www.os2.kr/komh/os2factory/#dav1d   Enjoy Warping !!! Korean OS/2 User Community : http://www.os2.kr/  

OS/2 announce: fluidsynth v2.4.7 and git v2.50.1 for OS/2 released

fluidsynth v2.4.7 and git v2.50.1 for OS/2 has been released. OS/2 용 fluidsynth v2.4.7, git v2.50.1 을 발표하였습니다. They can be downloaded from :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 fluidsynth v2.4.7: https://www.os2.kr/komh/os2factory/#fluidsynth git v2.50.1: https://www.os2.kr/komh/os2factory/#git   Enjoy Warping !!! Korean OS/2 User Community : http://www.os2.kr/  

2026 수능 6월 모의평가 지구과학II 풀이

- 지구과학II 문제지 - 지구과학II 정답표 1. (가) 난류: 미규모, (나) 태풍: 종관규모 - 정답: ㄱ. (가)는 난류임 ㄷ. 수평 규모는 종관 규모인 태풍이 미규모인 난류보다 큼 - 오답: ㄴ. (나) 태풍은 종관 규모로 지속 시간은 수 시간 ~ 수 일임 2. A: 변성 광상, B: 화성 광상, C: 퇴적 광상 3.  - 정답: A: 조력 발전은 밀물과 썰물의 높이차를 이용함 B: 조류 발전은 조류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는 재생 에너지임 C: 파력 발전은 파도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함 4.  - 정답: ㄱ. (가)에서 화강암이 현무암보다 많음 - 오답: ㄴ. (나)에서 해야 지각이 더 높음 ㄷ. 대륙 지각의 평균 지각 열류량은 해양 지각보다 낮지만, 대륙 지각의 주요 구성 암석인 화강암의 단위 질량당 방출 열량이 해양 지각의 주요 구성 암석인 현무암보다 높으므로 대륙 지각이 해양 지각보다 큼 5.  - 정답: ㄷ. 지진 해일(쓰나미)는 천해파임 - 오답: ㄱ. A는 70 안쪽, B는 70 바깥쪽이므로 A지점에 먼저 도착함 ㄴ. 시간 간격은 같지만 등치선 사이의 거리는 ㉠구간이 넓으므로 ㉠구간의 평균 속도가 더 빠름 6. - 정답: ㄴ. I은 아래쪽을 가열하고 있으므로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짐 ㄷ. I은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져 불안정하고, II는 위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높아져 안정하므로 '활발하다'는 ㉢에 해당함 - 오답: ㄱ. ㉠ 얼을뭄을 가득 채우는 과정은 지표가 냉각되는 과정임 7. A: 흑운모(판상, O:Si = 5:2), B: 감람석(독립상, O:Si = 4:1), C: 석영(망상, O:Si = 2:1) - 정답: ㄱ. A는 흑운모임 ㄷ. 흑운모, 감람석, 석영은 모두 규산염 광물임 - 오답: ㄴ. B 감람석의 굳기는 6.5, A 흑운모의 굳기는 2.5이므로 A가 B에 긁힘 8. A: 조선 누층군, B: 대동 누층군, C: 경상 누층군 - 정답: ㄱ. A 조선 누층군은 고생대 초기 지층이므로 ...

2026 수능 6월 모의평가 지구과학I 풀이

- 지구과학I 문제지 - 지구과학I 정답표 1. A: 차가운 플룸(하강), B: 뜨거운 플룸(상승) - 정답: ㄱ. A는 하강하므로 차가운 플룸임 ㄴ. B는 뜨거운 플룸으로 열점을 형성하여 태평양에 화산섬을 만듦 - 오답: ㄷ. B는 맨틀과 핵의 경계에서 생성됨 2.  A: 유문암질 마그마, B: 현무암질 마그마 - 정답: ㄴ. A 유문암질 마그마는 B 현무암질 마그마 때문에 뜨거워져 대륙 지각이 녹아 만들어짐 ㄷ. B 현무암질 마그마는 맨틀이 녹아 액체가 되었으므로 주변 고체 맨틀에 비해 밀도가 작아져 상승함 - 오답: ㄱ. A는 산성암(규장질암)으로 SiO2 함량이 63% 이상이고, B는 염기성암(고철질암)으로 SiO2 함량이 52% 이하임 3.  - 정답: ㄴ. 수온의 연교차는 A(7월 25도, 1월 4도)가 B(7월 24도, 1월 11도)보다 큼 - 오답: ㄱ. 해수 1kg에 포함된 염류의 총량은 염분이므로, A에서 4월의 염분(29psu)이 11월의 염분(30psu)보다 작음 ㄷ. 1월과 7월 사이의 등밀도선 거리가 A가 B보다 더 크므로 밀도차도 A가 B보다 더 큼 4.  - 정답: ㄴ. 가시 영상은 구름이 반사하는 태양 복사 에너지의 세기가 세면 하얗게, 약하면 검게 나타남 ㄷ. 구름 최상부의 온도는 적외 영상으로 알 수 있고, 적외 영상은 온도가 높을수록 검게, 낮을수록 하얗게 나타남. 따라서 검게 보이는 A의 온도가 하얗게 보이는 B보다 구름 최상부의 온도가 더 높음. - 오답: ㄱ. 가시 영상은 낮에만 찍을 수 있으므로 '22시'는 ㉠에 해당하지 않음 5. A: 쿠로시오 해류, B: 북적도 해류, C: 캘리포니아 해류 - 정답: ㄱ. A는 쿠로시아 해류 ㄴ. B 북적도 해류는 무역풍 때문에 형성됨 - 오답: ㄷ. C 캘리포니아 해류는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흐르는 한류임 6. 진한 실선: 기압, 연한 실선: 풍속, 점: 풍향 - 정답: ㄴ. 풍속은 t3에 가까울수록 빠르므로 t2가 t3보다 느림 - 오답: ㄱ. 태풍의 중...

OS/2 announce: libiconv v1.18-r2 and Wget2 v2.2.0 for OS/2 released

libiconv v1.18-r2 and Wget2 v2.2.0 for OS/2 has been released. OS/2 용 libiconv v1.18-r2, Wget2 v2.2.0 을 발표하였습니다. They can be downloaded from :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 libiconv v1.18-r2: https://www.os2.kr/komh/os2factory/#libiconv Wget2 v2.2.0: https://www.os2.kr/komh/os2factory/#wget2   Enjoy Warping !!! Korean OS/2 User Community : http://www.os2.kr/  

OS/2 announce: automake v1.17, libtool v2.5.4 and libiconv v1.18 for OS/2 released

automake v1.17, libtool v2.5.4 and libiconv v1.18 for OS/2 has been released. OS/2 용 automake v1.17, libtool v2.5.4, libiconv v1.18 을 발표하였습니다. They can be downloaded from :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 automake v1.17: https://www.os2.kr/komh/os2factory/#automake libtool v2.5.4: https://www.os2.kr/komh/os2factory/#libtool libiconv v1.18: https://www.os2.kr/komh/os2factory/#libiconv   Enjoy Warping !!! Korean OS/2 User Community : http://www.os2.kr/  

OS/2 announce: fluidsynth v2.4.3 for OS/2 released

fluidsynth v2.4.3 for OS/2 has been released. OS/2 용 fluidsynth v2.4.3 을 발표하였습니다. They can be downloaded from :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   https://www.os2.kr/komh/os2factory/#fluidsynth   Enjoy Warping !!! Korean OS/2 User Community : http://www.os2.kr/  

OS/2 announce: VLC media player v3.0.21-qt5 for OS/2 released

VLC media player v3.0.21-qt5 for OS/2 has been released. OS/2 용 VLC media player v3.0.21-qt5 를 발표하였습니다. They can be downloaded from :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 http://www.os2.kr/komh/os2factory/#vlc Enjoy Warping !!! Korean OS/2 User Community : http://www.os2.kr/

OS/2 announce: fluidsynth v2.4.2 for OS/2 released

fluidsynth v2.4.2 for OS/2 has been released. OS/2 용 fluidsynth v2.4.2 를 발표하였습니다. They can be downloaded from :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   https://www.os2.kr/komh/os2factory/#fluidsynth   Enjoy Warping !!! Korean OS/2 User Community : http://www.os2.kr/  

Windows 11 에서 VirtualBox 하드웨어 가상화 켜기 - 부제: 원효대사 해골물

이미지
가상화 프로그램으로 VirtualBox 를 이용한다. OS/2 를 가장 잘 지원하는 가상화 프로그램이라서 그렇다. 새로운 노트북을 사용할 기회가 생겨 VirtualBox를 설치한 후 OS/2 가 깔려 있는 가상 디스크를 복사해서 실행했는데, OS/2 로고가 나오는 화면에서 엄청 오랜 시간이 걸렸다. 물론 이 구간을 지나면 새로운 노트북 답게 엄청 빨라진 성능을 느낄 수 있었다. 이때까지 몰랐다. 이게 하드웨어 가속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였다는 것을. 이것을 인식한 것은 SMP 기능을 시험할 때였다. 이전 노트북에서는 SMP를 켜더라도 매우 빠르게 실행이 되었다. 그런데 새 노트북에서는 너무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고 게스트 OS의 CPU 사용률이 100%에 가까웠다. 거의 쓸 수가 없었다. 그래서 자료를 찾아보았더니 상태 표시줄에 거북이 표시( )가 있으면 하드웨어 가속이 안 되고 있는 것을 뜻한다고 했다. 여태까지 상태 표시줄은 꺼놓고 있었던 터라 눈치채지 못하고 있었다. 상태 표시줄에 있는 거북이 아이콘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두었더니 [실행 엔진]이 [native API]로 표시가 되었다. 곧 하드웨어 가속이 아니라 소프트웨어로 가상화 작업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성능이 이전 노트북보다 빠르기에 하드웨어 가속이 잘 되는 줄 알았는데, 소프트웨어만으로도 이 정도 성능 향상 효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이다. 완전히 원효대사 해골물이었다. 하지만, SMP는 소프트웨어로 처리하기에는 쉽지 않았나 보다. 그런데 이것도 오래전에 VirtualBox가 SMP를 제대로 지원하지 못한다는 소문이 있어서 원래 그런가보다 했던 것이었다. 결국 상태 표시줄에 있던 거북이가 나를 매트릭스에서 꺼내주었다. 결론부터 말하면 Hyper-V가 문제였다. Windows에서 Hyper-V 기능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VirutalBox에서 하드웨어 가상화 기능을 쓸 수 없었던 것이다. 또는 BIOS/UEFI 수준에서 Hyper-V에 상응하는 기능을 활성화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것도 꺼주어야 한다. ...